백제 때 무진악(武珍岳), 고려 때 서석산(瑞石山)이라고 하였으며 높이 1,187m이다. 북쪽은 나주평야, 남쪽은 남령산지의 경계에 있으며 산세가 웅대하다. 북부는 중생대에 관입(貫入)한 화강암이 분포하고 남부는 퇴적암지대이다. 대부분 완만한 흙산이며 중턱에는 커다란 조약돌들이 약 2km에 걸쳐 깔려 있는데 이것을 지공너덜이라고 한다. 153과 897종의 식물이 분포하며 이 가운데 465종은 약료작물이다.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공원 면적 30.23㎢), 2012년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공원 면적 75.425㎢). 유적으로는 증심사(證心寺)·원효사(元曉寺) 등의 사찰과 석조여래좌상(보물 600)을 소장하고 있는 약사암(藥師庵:)·천문사(天門寺)·미력사(彌力寺) 등의 암자가 있다.
정상 가까이에는 원기둥 모양의 절리(節理)가 발달하여 기암괴석의 경치가 뛰어나다. 동쪽 경사면에서 정상을 향하여 입석대(立石臺)·서석대(瑞石臺)·삼존석(三尊石)·규봉암(圭峰庵) 등이 있고 정상 부근에는 수신대(隨身臺)가 있다. 산의 북쪽 기슭인 충효동에는 환벽당·소쇄원·식영정 등의 누정이 세워져 있고 완만한 산기슭에는 수박과 차의 재배가 성하다.
출처 : 두산백과(원본보기)
1. 산 행 지 : 광주 북구와 화순군 이서면, 담양군 남면
2. 산행일자 : 2011.11. 27
3. 산행코스 : 증심사 - 중머리재 - 입석대 - 서석대 - 중봉 - 봉황대사거리(원점)
4. 산행거리 : 11.85Km
5. 산행시간 : 6시간17분
6. 산행참고 :
7. 교통참고 : 전세버스
8. 산행트랙 : 무등산(증심사-서석대- 봉황대-증심사).gpx
당산나무
중머리재
입석대
정상은 주기적으로 개방한다고 들었음 "서석대"가 정상인셈
서석대
서석대 주상절리
중봉가는길
중봉
용추봉